동국대 듀이카 자퇴 상담 후기 (김영편입 퇴사자)


광운대 정보과학교육원과 마찬가지로 동국대 듀이카도 대학교 부설 교육기관인데요.

최근 동국대 듀이카 다니는 학생들과 상담할 기회가 많아져서 관련 상담 후기와 정보들 공유합니다.

글쓴이


동국대 듀이카

저번 포스팅 때에 이야기한 것처럼 다른 대학교 부설 학점은행제 교육기관들도 이름을 많이 바꾸었는데요.

동국대 듀이카의 경우도 동국대 전산원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다가 2021년부터 현재 이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동국대 듀이카는 동국대 법인에서 운영을 하는 학점은행제 교육훈련기관인데요.

당연히 수능이나 편입으로 동국대 입학한 학생들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말 그대로 학점은행제에 필요한 학점을 따기 위한 기관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설명이 필요한 분이 계실 것 같아 간단하게 학점은행제 교육훈련기관이 어떤 개념인지 말씀드려볼께요.

학점은행제


우리가 전문학사(전문대 졸업)와 학사(4년제 대학 졸업) 학위를 받으려면 정규대학(전문대, 4년제 대학)을 졸업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그 방법 외에 나라에서 여러가지 사정에 있는 학생들을 위해 학위를 받을 수 있게 만든 제도가 학점은행제인데요.

그 취지에 맞게 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면, 누구나 진행이 가능한 게 학점은행제 입니다.

학점은행제 제도 취지
학점은행제 제도 취지

(하지만 대학교 부설 교육원들은 마치 대학처럼 면접을 통해 선발한다고 이야기하고 있긴 합니다…)

대학교 부설 교육원들의 학생 모집 공고

학점은행제라는 이름처럼 여러 교육훈련기관에서 학점을 취득한 뒤,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 학습자 등록, 학점인정 신청 등을 해서 학점은 인정받는 구조입니다.

마치 은행(학점은행제)에 돈(학점)을 입금(학점인정 신청)해서 만기이 되면 목표한 금액(학위)을 받는 것과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결국 학위는 학점은행제 국가공인기관인 국가평생교육진흥원(https://www.cb.or.kr)에서 주는 것이며, 동국대 듀이카 같은 기관은 학점을 취득하는 하나의 기관인 것입니다.

교육훈련기관 종류

예전엔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 인증받지 않은 교육원도 조금 있었지만, 요즘은 그런 경우는 없습니다.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홈페이지에서 간단하게 다 조회가 가능하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학점은행제를 이용하려는 학생 입장에서는 온라인 교육기관이냐 오프라인 교육기관이냐를 선택하면 됩니다.


온라인 VS 오프라인

학점은행제를 이용하는 다양한 목적이 있다고 하지만, 현실은 대부분 편입을 위한 지원자격 마련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학점은행제라는 학위(학벌)로 취업, 대학원 진학 등에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인데요.

이는 당연한 이치이기도 합니다.

누구나 할 수 있는 것과 아무나 할 수 없는 것의 차이일텐데요.

한양대 졸업한 학생을 부러워 하는 이유는 한양대를 입학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반면, 학점은행제는 고졸이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제도이기에 사회에서도 그 가치를 인정받기는 어렵습니다.

대신 우리는 이런 학은제를 잘 이용하면 되겠죠?

편입에 있어서 연고대 외에는 전적대 차별이 없기 때문에 지원자격을 학점은행제로 만들고 필기시험(편입영어,수학)을 준비해서 중상위권 대학으로 편입을 하면 됩니다.

학점은행제가 일반 정규대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점을 쉽고 빠르게 취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학은제 자체 학위로서는 사회에서 큰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지만, 편입 자격을 마련하는데에 있어서는 가장 최적의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럼 학점은행제를 진행할 경우, 가장 쉽고 빠른 방법을 선택해야겠죠?

그렇기 때문에 오프라인 교육기관이 아닌 온라인 교육기관을 활용해야합니다.

물론 편입이 목적이 아니라 학점은행제에서 오프라인 수업만 있는 전공을 진행해야 한다면 오프라인 교육기관을 이용해야만 합니다.

하지만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대부분의 학생들은 온라인 교육기관을 선택하는 것이 맞습니다.

편입은 교차지원이 가능한 제도입니다.

편입 지원자격(출처-한양대 모집요강)
편입 지원자격(출처-한양대 모집요강)


내가 편입 지원시 전적대(학은제) 학과와 상관없는 학과로 지원해도 전혀 무방합니다.

그렇기에 학점은행제를 진행할 때 대부분의 학생들이 경영학과로 진행을 합니다.

왜냐하면 경영학과 쪽 관련 자격증의 종류나 온라인 수업 개설 과목수가 많아서 학점을 따기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말한대로 가장 학점을 따기 쉽고 빠르기 때문이죠.

오프라인 출석 교육기관(출처-국가평생교육진흥원)
오프라인 출석 교육기관(출처-국가평생교육진흥원)
온라인 교육기관(출처-국가평생교육진흥원)
온라인 교육기관(출처-국가평생교육진흥원)


동국대 듀이카 학생 자퇴 상담


학생들마다 여러이유로 동국대 듀이카와 같은 오프라인 교육기관을 다니는 학생들이 있을텐데요.

대부분은 편입을 준비하지만, 위 내용들을 잘 몰라서 다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최근 상담한 학생들 중에도 듀이카 학생들이 있었는데요.

위에 사실 그대로를 이야기해주었습니다.

동국대 듀이카를 허위사실을 이용해 비방하는 것이 아닌, 팩트를 기반으로 그 학생에게 가장 유리한 방법을 제시했구요.

동국대 듀이카 뿐 아니라 오프라인 교육기관을 통해 학점은행제를 진행하는 학생들과 상담을 해보면 기관을 옮기는 것에 대한 부담을 가지고 있었는데요.

마치 정규대학의 휴학이나 자퇴처럼요.

근데 위에서 이야기한대로 학점은 인증된 기관이면 여러 곳에서 취득할 수 있습니다.

그건 정규 대학처럼 그 기관 소속이 되는 것이 아니라 기관을 이용해서 학점을 따는 것 뿐입니다.

동국대 듀이카도 그런 기관 중에 하나일 뿐이구요.

따라서 자퇴나 휴학 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구지 학교 측에 다음학기 등록한다 안한다 이야기할 필요도 없는 것이죠.

사실 이야기해도 상관은 없지만,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학생이 그런 계획들을 대학교 부설 교육기관에 이야기 할 경우, 교육기관에서는 학생들 이탈을 막기 위해 사실이 아닌 내용을 과장해서 이야기하는 경우도 듣기도 했습니다.

마치 인터넷 통신사 같은 걸 바꾸려고 할 때, 통신사에서 하는 해지방어 같은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총장 명의 졸업장?

대학교 부설 교육기관들이 학생들을 모집하거나 자퇴 방어(?) 등을 할 때 여러가지 레파토리들이 있는데요.

그 중에 하나가 ‘다른 온라인 기관과 달리 우리는 대학교 총장 명의 학사학위이기 때문에 더 유리하다.’ 라는 이야기인데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보시면 그 진실을 아실 수 있습니다.

🔗ㅇㅇ대학 전산원 다녀도 괜찮을까?(총장명의 학위?)

이런 오프라인 교육원을 다니는 것도 문제지만, 온라인으로 진행하려고 해도 이 시장이 워낙 플래너 관련 피해사례가 많은 곳이라 조심하셔야 합니다.

제가 상담한 학생들 중에도 플래너 관련 피해 사례가 꽤 많았습니다.

그래서 최근 관련 책도 하나 내기도 했구요.

🔗학점은행제, 아무나 할 수 없는 이야기

만약 이와 관련한 도움이 필요하시면, 상담신청 시 도움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채널 친구 추가 후 신청 가능합니다.